티스토리 뷰

반응형

5.16 군사정변 (1961년)

1. 배경

  1. 사회적 혼란:
    • 이승만 정부의 부정부패와 4.19 혁명 이후, 민주당 정부(장면 내각)가 출범했지만 정치적 안정에 실패.
    • 민주당 내분과 과도한 정쟁으로 정책 결정이 지연되고, 경제 상황이 악화됨.
    • 북한의 위협: 북한이 남한의 혼란을 선전하며 공산화 통일을 주장.
  2. 군 내부 불만:
    • 군대 내 장교들의 진급과 파벌 간 갈등 심화.
    • 군사혁명위원회(박정희 중심)의 일부 장교들은 정치적 무능을 이유로 군부 주도의 국가 개혁을 주장.
  3. 경제적 어려움:
    • 농업 중심 경제에서 산업화로의 전환이 더뎠고, 실업 문제와 사회 불안 증가.
  4. 박정희 개인의 야망:
    • 박정희는 군 내부의 불만을 조직화해, 스스로 권력을 장악하고자 함.

2. 원인

  • 정치적 혼란과 부패:
    • 장면 내각의 무능과 정쟁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
  • 군부 엘리트의 불만:
    • 군 내부의 진급 문제와 특정 파벌의 특권화.
  • 국가 위기의식:
    • 북한의 위협과 사회적 불안정으로 인해 군부가 '구국의 명분'을 내세움.

12.12 군사쿠데타 (1979년)

1. 배경

  1. 박정희 사망 이후의 권력 공백:
    •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된 후, 최규하 대통령이 취임했지만 실질적 권력을 행사하지 못함.
    • 군과 정부 내 권력 공백이 발생하며 혼란이 가중.
  2. 정치적 갈등:
    • 10.26 사건 이후 민주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지만, 군부와 정치 지도자들 간의 갈등이 심화됨.
    • 일부 군부 세력(전두환, 노태우)은 정치적 불안을 이유로 자신들의 권력 강화를 모색.
  3. 군 내부의 파벌 갈등:
    • 계엄사령관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은 박정희 정권 몰락 후, 전두환 중심의 신군부 세력을 견제.
    • 전두환과 노태우가 주도하는 '하나회'는 정승화의 제거를 계획.

2. 원인

  • 권력 공백:
    • 박정희 사망으로 인한 정치적 혼란과 최규하 정부의 리더십 부재.
  • 군부 내 파벌 갈등:
    • 군 내부에서 '하나회' 중심의 신군부와 기존 군 지도부(정승화)의 대립.
  • 전두환의 개인적 권력 욕구:
    • 전두환과 그의 동료들은 권력 장악을 위해 군사력을 동원.

비교 분석

항목5.16 군사정변12.12 군사쿠데타

발생 시기 1961년 5월 16일 1979년 12월 12일
주도 세력 박정희와 군사혁명위원회 (주로 중·하급 장교) 전두환, 노태우를 중심으로 한 '하나회' (군부 내 파벌)
배경 정치적 무능, 경제 불안, 북한 위협 박정희 사망 후 권력 공백, 군 내부 파벌 갈등
원인 - 장면 내각의 정치적 혼란과 부패
- 군 내부 불만
- 정승화 계엄사령관과 신군부(하나회) 간의 갈등
- 권력 공백
명분 국가 구제와 사회 안정 군부 내 안정과 기존 권력 제거
결과 박정희가 군사 정권 수립, 경제개발정책 시작 전두환 중심의 군사 정권 수립, 5.18 광주민주화운동 탄압

결론

  1. 공통점:
    • 두 사건 모두 군부가 정치적 혼란을 빌미로 권력을 장악한 사례.
    • 국가의 위기와 체제 안정이라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개인과 집단의 권력욕이 작용.
  2. 차이점:
    • 5.16 군사정변은 정치적, 경제적 혼란 속에서 국가적 변화를 추구하는 혁명적 성격이 강했고, 이후 산업화와 경제 성장이 이뤄졌습니다.
    • 12.12 군사쿠데타는 기존 정권 내부의 권력 투쟁과 군부 내 파벌 갈등에서 비롯된 내적 쿠데타로, 민주주의 후퇴와 국민 저항(광주민주화운동)으로 이어졌습니다.
  3. 역사적 평가:
    • 5.16 군사정변은 정치적 혼란 속에서 경제 성장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평가와, 군사 독재의 시발점이었다는 비판이 공존합니다.
    • 12.12 군사쿠데타는 민주주의 발전을 저해하고 군사 독재 체제를 연장시킨 행위로 부정적 평가가 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