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로블록스(Roblox)로 월 100만 원 이상의 수익을 올리는 것은 충분히 현실적인 목표지만, 꾸준한 노력과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로드맵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단계: 기본기 다지기 (1~3개월)

이 단계는 로블록스 창작 활동의 기초를 다지는 기간입니다. 로블록스 스튜디오에 익숙해지고, 간단한 게임을 만들어 보며 개발 과정을 이해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 로블록스 스튜디오 익숙해지기: 로블록스 스튜디오는 무료로 제공되는 개발 도구입니다. UI(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기본 기능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유튜브 튜토리얼이나 온라인 강좌를 활용하면 좋습니다.
  • 루아(Lua) 스크립트 학습: 로블록스 게임의 핵심은 루아 스크립트입니다. 모든 게임 로직과 상호작용은 스크립트를 통해 구현됩니다. 기초 문법부터 시작해 간단한 아이템 작동, 점수 계산, UI 이벤트 등을 직접 만들어 보면서 익혀야 합니다.
  • 간단한 게임 만들기: 점프맵(Obby), 시뮬레이션, 타이쿤 등 구조가 단순한 게임을 만들어 플랫폼에 출시해 보세요. 이 과정에서 게임 디자인, 버그 수정, 사용자 피드백 반영 등 실제 개발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2단계: 수익화 모델 구축 및 게임 확장 (4~9개월)

기본기가 갖춰졌다면, 이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 월 100만 원을 목표로 한다면, 여러 수익 모델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수익 모델 도입:
    • 게임 내 아이템 판매: 아바타를 꾸밀 수 있는 의상, 액세서리, 게임 플레이에 도움을 주는 부스트 아이템 등을 로벅스로 판매합니다.
    • 게임패스(Game Pass) 판매: 게임 내에서 영구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게임패스를 만듭니다. 예를 들어, 특별한 캐릭터 스킨이나, 플레이어만 들어갈 수 있는 공간 등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 프리미엄 페이아웃(Premium Payout): 로블록스 프리미엄 회원이 자신의 게임을 플레이하면 수익을 얻는 구조입니다. 게임의 인기를 높여 프리미엄 사용자가 오래 머물게 하면 수익이 자연스럽게 증가합니다.
  • 게임 콘텐츠 확장: 사용자들이 계속해서 게임에 머물도록 새로운 콘텐츠를 꾸준히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새로운 맵, 아이템, 퀘스트 등을 추가하여 게임의 수명을 늘리고, 이벤트를 통해 사용자 참여를 유도합니다.

3단계: 커뮤니티 관리 및 홍보 (10개월 이후)

어느 정도 수익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이제는 게임의 인기를 유지하고 확장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게임만 잘 만드는 것이 아니라, 마케팅과 커뮤니티 관리에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 SNS 및 커뮤니티 활용: 유튜브, 디스코드, 틱톡 등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하여 게임을 홍보하고, 사용자들과 소통해야 합니다. 게임 개발 과정이나 업데이트 내용을 공유하여 팬층을 확보하고, 피드백을 받아 게임 개선에 반영합니다.
  • 협업: 다른 로블록스 개발자나 인기 있는 유튜버와 협업하여 게임을 홍보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개발자 환전(DevEx): 수익이 일정 수준 이상(최소 30,000 로벅스 이상)이 되면, 로블록스의 DevEx(Developer Exchange) 프로그램을 통해 로벅스를 실제 현금으로 환전할 수 있습니다. 100,000 로벅스당 약 $350(한화 약 45만 원)의 가치를 가집니다. 따라서 월 100만 원을 벌기 위해서는 최소 20만 로벅스 이상의 수익을 올려야 합니다.

로블록스로 수익을 올리는 것은 개인의 창의성과 끊임없는 노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 로드맵을 참고하여 꾸준히 노력하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겁니다.

 

 

#로블록스수익 #로블록스로돈벌기 #로블록스개발 #로벅스 #로블록스스튜디오 #게임개발 #메타버스수익 #로블록스재테크 #1인개발 #개발자환전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