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상표권 등록 절차와 지정상품(또는 지정서비스)**는 상표법의 핵심 개념으로,
**"무엇을 보호할 것인지, 어디에서 사용할 것인지"**를 명확히 지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1. 상표권이란?
• 상표권은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에 사용하는 이름, 로고, 기호 등을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 법적으로 등록해야 효력이 발생하며,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 범위 안에서만 보호됩니다.
✅ 2. 상표 등록 절차 (대한민국 기준)
① 상표 검색 | 유사·선등록 상표 여부 확인 (KIPRIS에서 무료 검색 가능) |
② 출원서 제출 | 특허청에 온라인 또는 서면으로 제출 (지정상품/서비스 분류 포함) |
③ 절차 심사 | 요건 심사 + 기존 상표와의 유사성 판단 |
④ 공고 | 심사 통과 시 2개월간 공개 → 이의신청 가능 |
⑤ 등록료 납부 및 등록 | 등록료 납부하면 상표권 취득 (보호기간: 10년, 갱신 가능) |
✔ 전체 소요 기간: 보통 6개월~1년 내외
✅ 3. 지정상품 또는 지정서비스란?
• 상표는 ‘모든 상품/서비스’에 대해 등록되지 않습니다.
→ 어떤 분야(상품/서비스)에서 사용할 것인지를 지정해야만 보호가 이뤄집니다.
예시:
"나무카페" | 커피, 차, 음료, 제과류, 카페용 식자재 등 |
"포레스트투어" | 여행업, 가이드서비스, 숙박 예약 등 (제39류, 제43류 등) |
"AI비서" | 소프트웨어, AI 알고리즘, IT 컨설팅 등 (제9류, 제42류 등) |
✔ 상표는 지정된 상품이나 서비스 범위 내에서만 독점 사용 가능
→ 다른 분야에서는 같은 이름도 사용 가능할 수 있음
✅ 4. 상표 출원 시 주의사항
• 너무 넓게 지정하면 비용 증가 + 사용 입증 문제 발생 가능
• 너무 좁게 지정하면 보호 범위가 약해짐
→ 자주 사용하는 상품/서비스를 정확히 분석 후 지정 필요
• 클래스(국제상품분류체계):
→ 145류로 나뉨 (134류: 상품, 35~45류: 서비스)
✅ 결론
✔ 상표권 등록은 내 브랜드를 법적으로 보호하고, 타인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핵심 절차입니다.
✔ 특히 지정상품/서비스의 선택은 상표 보호의 ‘범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므로,
✔ 비즈니스 방향에 맞춘 전략적 설정이 필요합니다.
“상표는 이름을 지키는 법적 울타리다. 그 울타리의 넓이는 내가 지정한 상품/서비스가 결정한다.”
추천 키워드
상표권 등록 절차, 지정상품 뜻, 상표 서비스 분류, 상표권 클래스, 특허청 상표 출원, KIPRIS 검색, 상표 심사 요건, 상표 보호 범위, 브랜드 법적 보호, 상표권 전략
- Total
- Today
- Yesterday
- 주가예측
- 도파민
- 사법권 행사
- 법원 판결
- 주식매매
- 헌정 질서 위반
- 구속 수사
- 국가 지도자 처벌
- 조직 관리
- 전직 대통령 수사
- 보상 시스템
- 주요우울장애
- 정치인 구속
- 영장실질심사
- 동기부여
- 투자전략
- 주식투자
- 대통령 구속
- 대통령 범죄
- 정신 건강
- 내란죄
- 우울증
- 주식종목
- 윤석열
- 권력형 범죄
- 우울증 원인
- 대통령 비리
- 형사소송법
- 주식분석
- 우울증 증상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