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LRTimelapse 7을 이용한 타임랩스 영상 제작 방법
A1A2
2025. 2. 9. 00:23
반응형
LRTimelapse 7은 타임랩스 영상 제작을 위한 강력한 도구로, 사진 시퀀스의 편집, 보정, 디플리커(깜빡임 제거), 그리고 최종 비디오 렌더링까지의 전체 워크플로우를 지원합니다. 아래는 LRTimelapse 7의 기본 사용법을 단계별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시퀀스 준비 및 불러오기
- 폴더 구조 설정: 각 타임랩스 시퀀스는 별도의 폴더에 저장되어야 하며, 해당 폴더 내에 추가적인 하위 폴더가 없어야 합니다.
- 폴더 불러오기: LRTimelapse를 실행한 후, 좌측의 폴더 트리에서 작업할 시퀀스가 포함된 폴더를 선택합니다. 이때, 상위 폴더를 설정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키프레임 설정
- 키프레임 마법사: 상단의 워크플로우 버튼 중 'Keyframes Wizard'를 클릭하면,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키프레임의 개수를 제안합니다. 슬라이더를 사용하여 키프레임의 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시퀀스 내에서 중요한 변화가 발생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키프레임을 설정합니다.
3. 홀리 그레일 보정 (선택 사항)
- 홀리 그레일 마법사: 만약 일몰이나 일출처럼 밝기가 급격히 변하는 시퀀스를 촬영하면서 수동으로 노출을 조절했다면, 'Holy Grail Wizard'를 사용하여 이러한 노출 변화로 인한 밝기 변화를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습니다.
4. 메타데이터 저장
- 메타데이터 저장: 지금까지의 작업 내용을 메타데이터로 저장합니다. 이러한 메타데이터는 XMP 파일로 저장되며, 이후 편집 과정에서 활용됩니다.
5. 키프레임 편집
- 내장 편집기 사용: LRTimelapse의 내장 편집기를 사용하여 키프레임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기는 Adobe Camera Raw와 유사한 도구를 제공하여 기본적인 색상 보정, 노출 조절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Lightroom과 연동 (선택 사항): 더 정교한 편집을 위해 Adobe Lightroom Classic과 연동할 수 있습니다. LRTimelapse에서 키프레임을 설정한 후, 해당 시퀀스를 Lightroom으로 가져와 세부적인 편집을 진행하고, 편집한 메타데이터를 다시 LRTimelapse로 불러옵니다.
6. 자동 전환 및 디플리커
- 자동 전환: 'Auto Transition' 기능을 사용하여 키프레임 사이의 변화를 자동으로 계산하고 적용합니다.
- 비주얼 디플리커: 시퀀스 재생 시 발생하는 깜빡임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Visual Deflicker' 기능을 사용합니다. 이때, 이미지의 일정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디플리커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7. 시퀀스 미리보기 및 확인
- 비주얼 프리뷰 생성: 'Visual Previews' 버튼을 클릭하여 편집된 시퀀스의 미리보기를 생성합니다. 이를 통해 최종 결과물을 사전에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보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8. 내보내기 및 렌더링
- 내장 내보내기 및 렌더링: LRTimelapse의 'Export and Render' 기능을 사용하여 시퀀스를 원하는 해상도와 프레임 속도로 비디오 파일로 렌더링합니다. 이때, 'LRT Motion Blur' 기능을 활용하여 모션 블러를 추가하면 더욱 부드러운 영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 Lightroom을 통한 내보내기 (선택 사항): Lightroom에서 'LRTExport'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시퀀스를 내보낸 후, LRTimelapse에서 해당 시퀀스를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TIFF와 같은 고품질 중간 파일을 생성할 때 유용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cUt3YpwyuA&ab_channel=LRTimelaps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