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일본은 어떻게 조선의 외교권을 빼앗았는가? #을사늑약

A1A2 2025. 2. 4. 19:26
반응형

을사늑약(乙巳勒約, 1905): 조선 외교권 박탈의 불법 조약

**을사늑약(乙巳勒約)**은 1905년 11월 17일,
일본 제국이 **조선(대한제국)**의 외교권을 강제로 박탈한 조약입니다.
이 조약으로 조선은 외교적 자주권을 상실하고,
사실상 일본의 보호국으로 전락하게 되었습니다.
**"늑약(勒約)"**이라는 표현은 강제로 체결된 조약이라는 의미로,
을사늑약이 일본의 무력과 협박 아래 강제로 체결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이 조약은 조선 국민국제 사회에서 불법 조약으로 간주되며,
**한일병합(1910)**으로 이어지는 침탈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1. 을사늑약의 배경

1) 동아시아 정세 변화

  • 청일전쟁(1894-1895) 이후, 일본은 청나라를 꺾고
    조선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했습니다.
  • 그러나 러시아가 조선과 만주 지역에 진출하면서
    일본과 러시아패권 경쟁을 벌였습니다.
  • **러일전쟁(1904-1905)**에서 일본이 러시아를 격파하면서,
    일본은 조선 지배에 대한 국제적 정당성을 확보했습니다.

2) 열강의 묵인

  • 포츠머스 조약(1905): 러일전쟁 종결 후,
    러시아는 일본의 조선 지배를 공식 인정.
  • 가쓰라-태프트 밀약(1905):
    • 미국은 일본의 조선 지배를 묵인하는 대신,
      일본은 미국의 필리핀 지배권을 인정.
  • 영일동맹(1902, 1905):
    영국은 일본의 조선 지배에 동의.

국제 사회의 묵인 속에서 일본은 조선 침탈을 본격화했습니다.


2. 을사늑약 체결 과정

1) 일본의 협박과 강압

  • 1905년 11월 17일, 일본은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조선에 특사로 파견하여 조약 체결을 강요했습니다.
  • 이토 히로부미5천 명의 일본군을 경복궁 주변에 배치하고,
    조선 정부에 무력 협박을 가했습니다.

2) 고종 황제의 반대

  • 고종 황제는 조약 체결에 끝까지 반대했으며,
    **조인(署印)**을 거부했습니다.
  • 그러나 일본은 고종 황제를 협박하고 조약 체결을 강행했습니다.

3) '을사의 5적'의 조약 서명

  • 일본의 압박에 굴복한 조선의 일부 대신들이
    일본과의 조약 체결에 서명했습니다.

이름직책역할

이완용내각총리대신주도적으로 조약 서명
박제순외부대신외교권 박탈 서명
이근택군부대신군사 분야 협조
이지용내부대신행정적 조율
권중현학부대신교육 및 문화 분야 협조

이들은 훗날 **‘을사의 5적’**으로 불리며 민족 반역자로 규탄되었습니다.


3. 을사늑약의 내용

1) 주요 조항

  1. 조선의 외교권 박탈
    • 조선은 일본의 동의 없이 외교 활동을 할 수 없음.
  2. 통감부 설치
    • 일본은 **통감부(統監府)**를 설치하여
      조선의 외교 및 내정을 직접 관리.
  3. 외교 사무 이관
    • 조선의 외교 관련 사무일본 정부에 이관.

2) 조약의 불법성

  • 강제 체결: 무력과 협박으로 강요된 조약.
  • 황제의 불승인: 고종 황제는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으며,
    국새도 찍히지 않았습니다.
  • 국제법 위반: 주권국가의사에 반한 조약으로,
    국제법상 무효로 간주됩니다.

4. 을사늑약 이후의 영향

1) 조선의 외교권 상실

  • 조선은 독립국가의 지위를 상실하고,
    사실상 일본의 보호국으로 전락했습니다.
  • 일본은 조선을 외교적으로 고립시키고,
    내정 간섭을 확대했습니다.

2) 통감부 설치와 내정 간섭

  • 일본은 **서울(한성)**에 통감부를 설치하고,
    초대 통감으로 이토 히로부미를 임명했습니다.
  • 통감부는 조선의 외교뿐만 아니라 내정 전반을 관리하며,
    실질적인 지배권을 행사했습니다.

3) 고종의 저항과 국제적 호소

  • 고종은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해
    1907년 헤이그 특사 사건을 주도했습니다.
    • 이준, 이상설, 이위종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로 파견하여
      을사늑약의 불법성을 세계에 알리려 했습니다.
  • 그러나 열강들은 일본의 조선 지배를 묵인했고,
    이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4) 고종의 강제 퇴위

  • 헤이그 특사 사건(1907) 이후, 일본은 고종에게 퇴위를 강요했습니다.
  • 고종은 강제 퇴위당하고, 순종이 즉위하면서
    조선의 자주권은 더욱 약화되었습니다.

5. 을사늑약에 대한 저항

1) 의병운동의 확산

  • 을사늑약 체결 이후,
    전국적으로 의병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습니다.
  • 민종식, 신돌석, 홍범도 등 의병장들이
    항일 무장 투쟁을 이끌었습니다.

2) 을사의 5적 암살 시도

  • 조약에 서명한 **‘을사의 5적’**을 처단하려는 시도가 이어졌습니다.
  •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 의사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저격하여
    조선 민족의 저항 의지를 세계에 알렸습니다.

3) 국내외 독립운동 활성화

  • 을사늑약은 국내외 독립운동의 기폭제가 되었습니다.
  • 상하이 임시정부, 3.1 운동,
    그리고 무장 독립운동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6. 결론: 을사늑약의 역사적 의의

을사늑약일본 제국주의조선 침탈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불법 조약으로 평가됩니다.

  • 이 조약을 통해 조선은 외교권을 상실하고,
    이후 **한일병합(1910)**으로 이어지는 식민지 지배가 본격화되었습니다.
  • 그러나 조선 민족의 저항 의지는 꺾이지 않았으며,
    의병운동독립운동을 통해 끊임없이 저항했습니다.
  • 을사늑약의 불법성은 국제적으로 인정되었으며,
    현재까지도 한일 간의 역사적 갈등의 핵심 이슈로 남아 있습니다.
반응형